본문 바로가기

image

4월의 꽃

 영산홍

 해마다 4월말이면 거리와 동내를 화려하게 물들이는 대표적 봄꽃이다. 야산에 띄엄띄엄 흩어져 빨갛게 마음까지 물들이는 진달래가 수수한 시골처녀라면, 군락을 이루어 조경수로 쓰이는 영산홍은 화려한 도시처녀의 성장(盛裝)과도 같다고 하겠다.   

 

 본디 영산홍은 일본에서 자라는 철쭉의 한 종류인 사쓰끼철쭉을 기본종으로 하여 개량한 철쭉의 원예품종이란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영산홍(映山紅)’이라고 한다. 이 꽃은 세종 23년(1441) 봄, 일본에서 일본철쭉 두어 분을 조공으로 보내왔는데, 이를 본 사람들이  "이 꽃은 마치 서시(西施)와 같이 아름답고, 다른 철쭉꽃들은 못생긴 모모(嫫母)와 같다”라고 하여 극찬을 했다고 한다. 

 

 이 영산홍을 가장 좋아한 임금은 연산군이었단다. 연산 11년(1505)에 영산홍 1만 그루를 후원에 심으라 하고, 움막을 만들어 추위에 말라 죽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다음해에는 키운 숫자를 보고하도록 했다. 이후 조선 중후기에 영산홍은 선비들도 즐기는 꽃으로 널리 퍼졌는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보급된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이며, 지금은 각종 정원수 중에 가장 많이 심고 있다.

 

 일본철쭉는 일본 각지의 산지 개울 옆 바위에 붙어 자라, 줄기가 여럿으로 갈라져 기어가듯이 뻗는 성질이 강하다. 잎은 두껍고 단단하며, 상록이나 좀 추운 곳에서는 잎이 완전히 떨어지지 않는 반(半)상록이 된다. 홍수가 질 때 물이 넘어가기 쉽게 낮은 키와 튼튼한 뿌리를 뻗는다. 계단식 논두렁의 돌담 틈에서 우리나라 좀깨잎나무처럼 붙어 자라기도 하며, 대체로 무리를 이룬다. 꽃은 깔때기 모양으로 위쪽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고, 붉은색이 기본이나 개량하면서 분홍색, 흰색 등 여러 색이 있다.

 

 사쓰끼철쭉의 접두어는 음력 5월을 뜻하는 ‘고월(皐月)’에서 유래되었고, 꽃 피는 시기가 철쭉보다 더 늦은데, 거의 초여름에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도시에 심은 영산홍은 이보다 훨씬 빠른 양력 4월 말이나 5월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또 영산홍의 일부는 오래전에 들어온 원종 사쓰끼와 우리나라 산철쭉이 교배되어 생겼다는 설도 있다. 꽃이 붉은 것은 영산홍, 보라색인 것은 자산홍(紫山紅)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산홍은 꽃, 잎, 생김새까지 우리 산철쭉과 거의 비슷하다. 산철쭉보다 키가 작고 잎도 작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산홍은 상록이거나 반상록인 반면 산철쭉은 완전한 갈잎나무다.그러나 사쓰끼철쭉, 기리시마철쭉, 우리나라 및 일본 산철쭉 등 수많은 철쭉 무리들이 교배되어 서로의 형질이 뒤섞여 있다. 그래서 영산홍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다음 백과>에서 발췌>  

 

 

 라일락

 유럽 남동부가 원산지인 라일락은 전 세계의 온대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꽃은 홑꽃 또는 겹꽃으로 꽃은 다양한 색을 띠는 수백 가지 변종이 있다. 키는 6m 정도이며 줄기나 뿌리에서 많은 가지를 낸다. 대개 관목이지만 가지를 쳐 주면 키가 작은 교목으로 자란다.  한국에는 외국에서 들어온 라일락을 뜰에 심거나 가로수로 쓴다. 한국의 수수꽃다리는 주로 북한에서 볼 수 있으며, 울릉도에 섬개회나무, 강원도 이북에 꽃게회나무가 자란다. 개회나무와 털개회나무가 산속에서 흔히 자란다.[Daum백과] 발췌 

 

돼지똥풀꽃

 

 졸방 제비꽃

 졸방제비꽃은 꽃들이 올망졸망 피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경상도에서는 올망졸망을 올방졸방이라고 하는데, 작고 조그만 꽃들이 고르지 않게 벌어져 있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또 강원도와 경상도에서는 조리를 졸방이라고도 한다. 졸방제비꽃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양지 혹은 반그늘에서 잘 자라며, 키는 20~40㎝이다. 제비꽃 중에는 드물게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은 길이가 2.5~4㎝, 폭이 0.3~0.5㎝로 어긋난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턱잎은 긴 타원형으로 빗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다음 백과>에서 발췌

 

 양지꽃

 봄철 양지쪽에는 유난히 노란 꽃을 달고 있는 풀들이 많은데, 양지꽃도 그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 산과 들 어느 곳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꽃으로, 특히 토질에 관계없이 햇빛이 잘 들어오는 곳이면 어디든 잘 자라서 양지꽃이라 한다.

 

 조팝나무꽃

 4월 중순에 피는 대표적인 꽃으로 요즘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여놓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팝나무라고 한다. 키는 1m 정도이고, 전국의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흰색의 꽃이 4월 초순에 촘촘한 우산살 모양으로 무리져 핀다. 

 

 황매화

 이 꽃은 잎과 함께 피는데, 꽃이 매화를 쏙 빼닮고 색깔이 노랗다고 하여 ‘황매화(黃梅花)’라고 부른다. 홑꽃으로서 다섯 장의 꽃잎을 활짝 펼치면 5백 원짜리 동전 크기보다 훨씬 크다. 이름에 매화가 들어갔지만 같은 장미과라는 것 이외에 둘은거리가 멀다. 중국에서 들어온 이 꽃은 20세기 초 우리나라 식물에 표준 이름을 붙일 때 새로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황매화는 홑꽃 이외에 꽃잎이 여러 겹으로 된 겹꽃 황매화가 있다. 죽도화, 혹은 죽단화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황매화보다 더 널리 심고 있다. 황매화, 죽도화(죽단화)는 엄밀히 구분하여 부르지 않는 경우도 많아 혼란스럽다. 겹꽃 황매화는 알기 쉽게 ‘겹황매화’로 통일하여 부르는 것이 옳을 것 같다. <다음백과> 발췌  

 

 

겹황매화

'im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피  (4) 2017.08.28
미니 관상어 구피  (3) 2017.06.06
서울 모터쑈  (4) 2017.04.02
살구꽃  (2) 2017.03.30
봄봄  (2) 2017.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