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國의 城

논산 노성산성

 작년에 갔었던 황산성에 비해 보존이 잘 되어 있으리란 희망으로 노성산성을 찾았다. 그러나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보수하려 노력은 한 것 같았으나, 새로 쌓은 성벽 부분을 사각으로 쪼아낸 돌로 축대 쌓듯이 만들어 성의 없어 보였다. 문화재청에 공사 감독관도 돌아보지 않았을 성싶었다. 이정표도 없어 올라가는 길에 성이 무너진 흔적인지 돌무더기인지도 모를 돌담 성벽길을 지나 정상까지 올라갔다. 

 

 신라와 백제군이 최후의 접전을 벌였다는 황산벌의 요충지인 노성산성과 황산성 관리가 허술하단 것은 일단 문제라고 본다. 2015년 지정된 유네스코 백제 역사지구가 눈앞에 보이는 곳만 치장하여 관광지로 홍보하면 그만인지 지자체 탁상행정의 표본을 그대로 보는 것 같다. 논산지역은 황산벌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임에도 변변한 유적지 하나 보존하지 못하고 있으니, 치열했던 옛 삼국의 역사를 생각하면 너무 안타깝다. 탑정호에 우리나라 최장의 출렁다리를 건설할 것이 아니라 허물어져 사라지고 있는 역사적 유적지를 발굴하여 복원하는 것이 먼저 해야 할 일이 아닐는지 나름 생각해 보았다.  

 

노성산성 오르는 초입의 주차장이 있는 애향동산 출렁다리, 전국적으로 출렁다리와 케이블카 설치가 사태난 듯 넘쳐난다.

 

시멘트 콘크리트로 만든 정자. 정자 아래 주차된 화물차. 시원한 그늘이 그리웠던 모양이다.

 

임도를 거쳐 산길을 한참 걸어 노성산 정상부분 삼거리 갈래길에서 오른쪽 나무계단으로 올랐다.

 

산성의 흔적, 무너진 석벽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

 

길 옆으로 계룡산 주능선이 보였다. 미세먼지 때문에 선명하진 않았지만 반가운 능선이었다. 연천봉과 문필봉, 관음봉과 천황봉이 한눈에 들어왔다.

 

정상으로 오르는 마지막 계단

 

정상에 있는 정자, '니산정(尼山亭)', 공자의 탄생지 노(魯) 나라 곡부 인근의 '니구산(尼丘山)'을 모방하여 이름 지은 듯하다. 그러고 보면 '노성산(魯城山)'이란 이름 자체가 공자가 태어난 노(魯) 나라를 염두에 두고 지은 것이다. 이곳의 옛 지명이 니산현(尼山縣)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공자를 흠모하여 모화사상에 빠진 유림들이 이곳에 공자가 태어난 마을인 '궐리'를 차용하여 이곳에 '궐리사'를 만들고, 지명도 노나라 '니구산'처럼 지어 붙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겠다. 백제 5천 결사대가 최후 항전을 하다 전사했을 황산벌에 그들을 추모할 공간은 생각도 않고, 공자를 이 땅에 두고 싶어했던 유학자들의 몸부림이 오히려 무섭게 느껴졌다.  

 

노성산 정상 표지석

 

정자에 앉아 잠시 휴식한 뒤 성벽을 찾으러 아래 산길을 더듬었다.

 

논산평야 - 황산벌

 

아래로 내려오니 기이한 입석들이 여러 개 서 있어 자세히 보니까 삼신암, 칠성암이란 글씨가 음각되어 있었다. 삼신암 글씨 바로 아래에는 '다윗의 별'이란 유태인들의 육각별 문양이 새겨져 있어 놀라웠다.

 

입석 앞방향으로 금강대도 노성 분원이 있었다. 안내문을 읽으니 유불선을 통합하여 세운 도량인 듯하다.

 

도량에서 왼쪽길로 내려오니, 옛 폐가 앞에 느티나무가 성벽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었다. 

 

느티나무 뒤로 새로 축대 쌓듯 쌓아 올린 석성, 느티나무가 마치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사원의 나무처럼 성벽위에서 성을 타고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길 건너 아래쪽엣 옛 성벽 위에 새로 석성을 쌓아 복원했다. 여기에도 느티나무가 성벽을 훼손하고 있었다.

 

폐가 아래 석성의 흔적을 따라 동쪽으로 걸었다. 일부는 무너지고 나무들이 뒤엉켜 성벽의 흔적만 볼 수 있는 곳도 있었다.

 

다시 새로 쌓은 곳으로 되내려 왔다. 남문지로 추정되는 곳, 옛 석성아래 이어서 석벽을 쌓았다.

 

금강대도 노성본원으로 들어가는 길, 허물어진 성벽 사이로 길이 났다. 양쪽으로 큰 느티나무가 성벽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성을 내려오며 아쉬워서 뒤돌아 나무 사이로 보이는 석성을 한 컷 담았다. 

 

노성산성과 연산 황산성 -구글 지도

 

 

 노성산성

 1995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둘레 약 950m 옛 이산현(尼山縣)의 진산인 노산(魯山) 혹은 성산(城山)이라 불리는 산 위에 있는 테뫼식 산성(산 정상을 둘러쌓은 성)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주산석성(主山石城)이라 하여 둘레 350보(步)이고 성안에 3개의 샘이 있어 마르지 않으며, 군창이 있다고 하였고, 이곳의 봉화대가 남으로 은진의 노산(蘆山 : 지금의 황화산)과 이어지고, 북으로 공주의 효포산(曉浦山 : 지금의 月城山) 봉수와 이어진다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노산성(魯山城)이라 하고, 둘레 1,950척(尺)이고, 높이 8척이며, 성안에 4개의 우물이 있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조선 초기까지 이용된 산성임을 알 수 있다.

 해발 348m의 성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형성된 작은 곡부(谷部)의 상단을 삼태기 모양으로 에워싸고 있으며, 성벽은 남쪽에서 6.8m나 되고, 서쪽에서도 4.2m나 된다. 성벽은 표면이 장방형으로 다듬어진 할석으로 수평 쌓기 하고, 기단의 아래에서는 계단식으로 점차 안쪽으로 수렴되도록 축조되어 매우 견고하다. <다음 백과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