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대관령 국사성황사와 산신당

  선자령에서 내려와 선자령 올라갈 때 들었던 굿소리가 궁금해서 국사성황사로 차를 몰았다. 대관령에서 북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산속까지 차 한 대 겨우 지나갈 정도의 좁은 길이었다.  우거진 산림 속에 대관사와 성황사, 산신당이 있었다. 때마침 강릉단오제 전날이라 단오제가 시작되는 대관령 성황사와 산신당의 행사가 기대되었으나 별다른 풍물은 보지 못했다.

 

  

함박꽃, 또는 산목단, 북한의 국화란다. 

 

성황사 위에 있는 대관사. 단촐한 외건물이었다. 지붕도 전통기와가 아닌 플라스틱 개량기와였다. 유서깊은 곳의 절로 방치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대관령서낭당은 대관령산신당 서쪽 약 30m 거리에 있다. 사당은 건평 5평 정도의 기와집이다. 내부 정면 벽에는 국사서낭 신상이 걸려 있다.  현재의 당우는 1944년에 중건된 것인데, 그 역사는 확실하지 않으나, 적어도 천 년 이상 된 강릉단오제의 유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관령국사서낭은 대관령산신과 강릉단오제의 주신으로 모셔지고 있다. 성황사 좌측에는 대관사가 있고 우측 뒤로 산산당이 있다.

 

 

정면 벽의 신상은 신라말의 선승 범일국사로 백마를 타고 궁시(弓矢 : 활과 화살)를 메고 있는 서낭신과 말고삐를 잡고 있는 시종, 그리고 그 앞뒤에 호랑이가 호위를 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 앞에는 신주(大關嶺國師城隍之神主-대관령국사성황지신주)가 놓여 있다.  범일국사(810~889)는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대관령국사성황’으로 신앙되고 있으며, 강릉을 비롯한 영동 지역의 수호신으로, 해마다 강릉단오제를 통해 제의를 받는다고 한다.

 

  산신당은 대관령성황사에서 동북쪽에 있다. 현존하는 당우는 지은 지 40∼50년밖에 되지 않아 보이나, '임영지 臨瀛誌'와 '동국여지승람' 등에 전하는 대관령산신에 대한 기록으로 미루어 그 역사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 모시고 있는 산신은 확실하지는 않지만 조선조 광해군 때 허균(許筠)의 시문집인 '성소부부고 惺所覆瓿藁'에 김유신(金庾信)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건물은 한 평 남짓한 조그만 골기와 맞배지붕이다.  왼쪽 기둥에는 ‘應天上之三光(응천상지삼광)’이, 오른쪽 기둥에는 ‘降人間之五福(강인간지오복)’이 씌어 있다.  신당 안에는 ‘大關嶺山神之神位(대관령산신지신위)’라는 위패와 함께 노인이 옆에 범을 거느리고 있는 산신도가 있다.  

   제의는 단오제 일정에 의하여 행해지는데, 음력 4월 15일 국사서낭제를 지낸다. 이 날은 대관령국사서낭과 여서낭인 정씨 집 딸이 혼배(婚配:혼인)한 날이기도 하다.  먼저 산신제를 지낸 뒤 서낭제를 지내는데, 홀기(笏記:의식에 대한 여러 절차)를 부르며 헌작(獻爵), 독축(讀祝)으로 유교식 제사를 올린 다음 서낭당 근처에 신목(神木, 신간)을 베러 간다. 그런 다음 신간과 위패를 모시고 요란한 무악을 울리면서 산을 내려와 일행은 중간지점인 구산서낭당에서 간단한 제사를 올리고 굿을 한다.  

   그리고, 다음 국사여서낭의 생가인 정씨가(鄭氏家)에 잠시 들렀다가 강릉시 홍제동 대관령국사여성황사에 도착, 서낭 내외를 합사(合祠 : 둘 이상의 혼령을 한 곳에 모아 제사함.)한다. 이곳에서 5월 3일까지 부부가 함께 있고,  5월 4일부터 5월 6일 소제(燒祭 : 마지막 절차로서 제사상에 있던 신간과 호개등, 지화 등을 태우는 의식) 때까지의 남대천 단오제장에 있다가, 소제가 끝난 다음 다시 국사서낭은 대관령국사성황사로, 여서낭은 대관령국사여성황사로 각각 돌아가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신당 뒤의 당목 아래에선 무속인들이 치성을 드리고 있었다.

 

성황사에서 나와 옛대관령길로 내려가다가 잠시 머문 사임당 신씨의 사친시비.  이 시비의 한 구비 아래에 옛대관령 고갯길이 있다.

 

검은 돌에 새겨진 시를 읽으니, 300여년 전에 숲길을 빠져나와 고개마루에 서서 멀리 내려다 보이는 친정집과 어머니를 생각하며 서울로 떠나는 사임당의 착찹함이 느껴지는 듯했다.

 

사친시비 아래로 동쪽의 강릉가는 고속도로 - 고산지대라 아카시아 꽃이 이제 피고 있었다. 동해로부터 구름안개가 몰려들었다.

.

.

.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죽헌과 김시습 기념관  (4) 2013.06.13
강릉 선교장과 경포대  (6) 2013.06.12
정읍 황토현 동학농민혁명기념관  (6) 2013.05.12
고창 청보리밭  (2) 2013.05.09
안산 최용신 기념관  (0) 2013.04.28